본문 바로가기

🏠 주거·돌봄/요양·간병 정보

요양원 vs 재가요양 비용 완벽 비교 (월 200만원 차이 나는 이유) - 우리 가족 실제 경험담

👩‍👧 “할머니를 어디로 모셔야 할까요?”

저는 30대 후반 워킹맘입니다.
최근 외할머니(92세)와 시어머니 친구분들의 요양 상황을 보며
“요양원 vs 재가요양, 어떤 게 나을까?”를 진지하게 고민하게 됐습니다.

제가 직접 겪고 들은 세 가지 사례를 정리해봤어요.

  • 외할머니: 92세, 거동 불편, 치매 있으심, 요양원 입소 중
  • 시어머니 친구분: 재가요양 요양보호사로 근무
  • 지인 할머니: 경증 치매, 재가요양 + 센서 시스템 이용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 정답은 없습니다. 어르신 상태에 따라 최선의 선택이 달라집니다.


💰 요양원 vs 재가요양 한눈에 비교 보기

구분 요양원(시설) 재가요양(집)
월 평균 비용 150~250만원 50~100만원
본인 부담금 약 15% 약 15%
환경 시설 중심 집 중심
돌봄 형태 24시간 상주 시간제 방문
추천 대상 중증 치매·와상 어르신 경증·부분 거동 가능 어르신

💡 실제로는 월 200만원 가까이 차이가 납니다.
하지만 비용보다 중요한 건 어르신의 안전과 만족도입니다.


🏢 요양원 (노인요양시설)

📋 어떤 곳인가?

노인장기요양보험 등급을 받은 어르신이 입소하여 

24시간 돌봄을 받는 시설

 

* 입소 조건

- 만 65세 이상

- 장기요양등급 1~5등급

- 또는 인지지원등급

👵 우리 외할머니 사례 — 92세, 중등도 치매

  • 약간의 거동은 가능하나 매우 느리신편
  • 치매 있음
  • 집에서 생활하시며 아침,저녁으로 삼촌내외께서 케어해주심
  • 사회복지사 방문 서비스를 이용중이셨음 (센서 시스템 설치로 미동 없으면 자동으로 가족·복지사에게 연락)

📍 입소 결정 이유

1️⃣ 낙상·화재 등 안전 위험

- 치매로 인한 돌발 행동

- 가스불 사고 우려

2️⃣ 24시간 의료·간호 전문 인력 필요

- 갑작스런 상황 대응 어려움

- 가족 모두 직장 생활

- 약물 정확한 복용

- 재활 운동 필요

더 이상 현실적으로 집에서 모시는 것이 불가능했습니다.
결국 “안전이 우선”이라는 결론으로 요양원 입소를 할머니와 함께 결정했습니다.(입소 당시 약간 정신 있으심)

💰 실제 비용 (2025년 기준, 경기도 4인실)

항목 금액
총 요양비 210만원
장기요양보험 지원 (85%) 178.5만원
본인 부담금 (15%) 31.5만원
식비·용돈·기타 약 47만원
총 월 부담액 약 78만원

 

👍 장점 (가족 입장에서 느낀 점)

✅ 24시간 간호·응급 대응
✅ 욕창·약물 관리 등 전문 케어
✅ 또래 교류 가능
✅ 가족의 심리적 부담 감소

주말에 면회

긴급 상황시 연락 옴

치매 진행 속도 조금 늦춰짐

집에 혼자 계실 때 보다 활동성 있음

👎 단점

❌ 초기 적응 스트레스 (“집에 가고 싶다” 하심)

❌ 사생활 부족 (4인실, 소음)
❌ 면회 제한 (주말 위주)
❌ 획일적 일과로 자율성 감소

🧩 요약: 완전 와상·중증 치매 어르신에게는 요양원이 안정적입니다.
다만, 매일 연락하지만 가족과의 정서적 거리가 생길 수 있습니다.


🏠 재가요양 (방문 요양)

👵 시어머니 지인 사례 — 80세, 경증 치매

  • 거동 가능 (보조 필요)
  • 간단한 식사 가능
  • 낮에는 혼자, 저녁엔 자녀와 생활(밤과 주말은 자녀와 함께)
  • 경증 치매 (깜박임 있지만 대화가능)

💰 실제 재가요양 서비스 구성

시간대 내용 횟수
오전 9~12시 세면·약 복용·식사 준비 월·수·금
오후 2~5시 청소·빨래·말벗 화·목
  • 월 60시간 (4등급 기준)
  • 총 비용 약 92만원
  • 본인 부담 15% → 13.8만원
  • 식비·생활용품 포함 총 46만원대

요양원 기준보다 월 30만원 이상 절약됩니다.

👩‍⚕️ 요양보호사님의 말(시어머니 친구분)

일 끝나고도 할머니께 꼭 전화드려요. 치매가 있으셔서 혼자 있는 시간이 길면 위험해요.
그래서 근무시간 외에 ‘약 드셨어요?’, ‘저녁은 잘 챙겨 드셨어요?’,"반찬 두번째 칸 안쪽에 좋아하시는 반찬 있어요.",
가족분들이 퇴근하실 때 까지 중간중간 체크해드리는 거죠. 이건 회사에서 요구하는 건 아니에요. 마음이 쓰이고 돌아가신 어머니가 계셨다면 그렇게 해드리고 싶었을꺼에요. 우리 어머니라고 생각하면서 일해요.

 

*근무 일정

- 오전 8~12시(4시간)

- 점심 식사 준비해드리고 퇴근

- 퇴근 후에도 전화로 안부 확인

- 응급 상황 시 가족에게 즉시 연락(ex,부재중 5통 이상 안받을 시 가까우면 직접방문. 혹은 가족에게 즉시 연락)

이런 따뜻한 케어가 재가요양의 진짜 힘입니다.

👍 장점

✅ 집이라는 익숙한 공간 → 적응 빠름
✅ 가족과 일상 함께함
✅ 비용 저렴
✅ 맞춤형 돌봄 가능
✅ 요양보호사와 정서적 유대감

👎 단점

❌ 밤 시간 공백 (응급상황 시 위험)
❌ 요양보호사 교체 시 불편
❌ 집 개조 필요 (손잡이, 미끄럼 방지 등)

💡 센서 시스템(움직임 감지, 자동 알림 등)을 활용하면 안전을 보완할 수 있습니다.


📊 실제 비교표 요약

항목 요양원(외할머니) 재가요양(지인분)
월 비용 78.5만원 46.8만원
치매 중증 경증
24시간 케어
익숙한 환경
가족과 접촉 제한적 매일 가능
응급대응 즉시 가능 센서·전화로 보완

🎯 어떤 선택이 맞을까?

🏥 요양원 추천 대상

완전 와상 (거동 불가)

- 스스로 움직일 수 없음

- 휠체어 필요

- 체위 변경 필수

 

중증 치매

- 배회·폭력·망상

- 24시간 감시 필요

- 가스불 등 사고 위험 높음

 

의료 케어 많이 필요

- 석션 (가래 제거)

- 욕창 관리

- 인슐린 주사

 

가족 케어 완전 불가능

- 자녀 모두 타지역

- 독거

- 밤 시간 돌볼 사람 없음

 

👉 외할머니 사례가 대표적

 

🏠 재가요양 추천 대상

✅ 부분 거동 가능

- 집 안 이동 가능(보조 필요)

- 화장실 혼자 또는 도움받아 가능

- 침대에서 일어날 수 있음

 

✅ 경증 치매

- 깜빡임 있지만 대화가 가능

- 집 주소 알아봄

- 가족 얼굴 인식

 

✅ 가족 중 누군가 돌봄 가능

- 밤·주말에 가족이 함께

- 또는 교대 시스템

- 센서·전화로 원격 케어

 

✅ 집 환경 괜찮음

- 1층 또는 엘리베이터

- 화장실 접근 쉬움

- 안전 개조 가능

 

👉 시어머니 지인분 사례가 대표적

👉 👉 결론:“안전이 최우선, 어르신의 상태와 가족 여건을 모두 고려하자.”


💡 실전 팁 — 재가요양 성공 4단계

1️⃣ 요양보호사와 신뢰 쌓기

  • 첫 만남 때 생활 습관 공유(우리 부모님을 맡기는 것, 신뢰 없으면 불안함)
  • 정기 소통 (전화·카톡)
  • 명절 감사 인사 잊지 않기

2️⃣ 근무 외 시간 관리

  • 요양보호사 퇴근 후에는 가족이 전화·영상통화
  • 응급상황 대비 119 버튼 비치
- 요양보호사님 조언 -
제가 퇴근하고 나면 할머니 혼자 계세요. 그래서 저녁 6시 쯤 전화드려서 "약 드셨어요?","저녁 드셨어요?" 하는데 이게 회사에서 시키는게 아니지만 안하면 마음이 불안해요. 제가 이렇게 하니까 가족분들도 신뢰해주시고, 저도 보람 느낍니다.

3️⃣ 스마트 센서 활용 (센서·IoT 기기 활용)

움직임 감지 센서 119 다이렉트 버튼 스마트 도어락
- 설치 : 거실, 침실, 화장실
- 비용 : 30~50만원
- 월 이용료 1~2만원
- 목에 걸기
- 버튼 누르면 즉시 119 연결
- 비용은 무료(소방서 신청)
- 출입 알림
- 가족 폰으로 확인
- 비용: 20~30만원

4️⃣ 가족 역할 분담

  • 평일 낮: 요양보호사
  • 평일 저녁: 자녀
  • 주말: 형제 교대
  • 공유 채팅방으로 상황 실시간 확인(할머니 상태 공유, 요양보호사도 참여, 응급 상황시 즉시 공유)

💸 비용 절감 꿀팁

✅ 장기요양등급 재조정 — 등급 오르면 시간
✅ 기초생활수급자 — 본인 부담 면제 가능( 주민센터 복지과 확인하기 )
✅ 지자체 복지 서비스 — 센서 설치 지원(각 시 ·구청 홈페이지 확인하기 )
✅ 사회복지사 연계 방문 — 무료 안전 점검( 주민센터 또는 사회복지관 확인하기 )


💬 어머니의 솔직한 이야기

솔직히 말하면,
외할머니를 요양원에 모시기로 했을 때 어머니는 타지로 곁에 있지 못해 책감이 컸습니다.

하지만 현실은 냉정했습니다.

  • 24시간 돌봄 불가
  • 직장 + 가족 케어 병행 불가능
  • 밤중 배회·낙상 위험 높음
  • 치매 중증도가 높아지는 중

결국, 요양원이 할머니께 더 안전하고 존엄한 선택이었습니다.
이후 매일 오전 전화드리고 종종 주말마다 올라가셔서 찾아 뵈며 마음이 한결 편해지셨습니다.


✅ 요양 준비 체크리스트

🏥 요양원 고려 중이라면

  • 어르신 거동 상태 평가
  • 치매 정도 확인
  • 최소 3곳 이상 견학
  • 계약서·환불 규정 꼼꼼히 확인
  • 식사 시간 방문(음식 확인)

🏠 재가요양 고려 중이라면

  • 장기요양등급 신청
  • 집 안전 점검
  • 재가요양센터 3곳 상담
  • 센서 설치 검토
  • 요양보호사 면담
  • 가족 역할 분담 확정
  • 월 예산 계산

🕊️ 결론 — “정답은 없습니다. 최선만 있을 뿐입니다.”

92세 중증 치매 외할머니 → 요양원이 최선
80세 경증 치매 지인 어르신 → 재가요양이 최선

가족의 사랑은 함께하는 형태보다, 안전과 존엄을 지켜주는 방식에 있습니다.
어떤 선택을 하시든, 어르신의 평온한 하루를 위한 결정이라면 그것이 정답입니다.


📌 다음 글 예고:
👉 “치매 초기 증상 10가지, 우리 부모님은 괜찮을까?” (자가진단표 포함)

💬 여러분의 경험도 댓글로 공유해주세요.
비슷한 상황의 가족들에게 큰 도움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