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월급 700만원으로 1억을 모을 수 있을까?”
8년 전 결혼 2년 차,
저는 20대 후반, 남편은 30대 중반입니다.
둘 다 평범한 직장인입니다.
결혼할 때 세운 목표는 단 하나였습니다.
“3년 안에 전세 자금 1억 모으자.”
그런데 결혼식비로 2,000만원을 쓰고 나니 남은 돈은 몇백만원.
두 사람의 월급을 합쳐도 700만원이 전부였습니다.
솔직히 말해 처음엔 불가능하다고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1년 8개월이 지났습니다.
그리고 저희는 처음 제가 자취하던 1.5룸 원룸 월세로 신혼생활을 시작하여,
1년뒤 잔고 1억 2,300만원을 달성해 첫 전세를 시작했습니다.
이 글은 그 과정을 낱낱이 정리한 현실적인 재테크 전략 5가지입니다.
모든 수익률, 금액, 시스템을 실제 데이터 기반으로 공개합니다.
📊 재정 현황 (1년 8개월차)
구분 | 금액(원) | 비고 |
전세자금 | 100,000,000 | ✅ 목표 달성 |
예비비 | 15,000,000 | 생활비 여유자금 |
투자수익 | 8,000,000 | 수익률 약 12% |
총 자산 | 123,000,000 | 실현 자산 기준 |
📈
- 1년차: 4,500만원 저축
- 1년 6개월차: 9,500만원 + 투자수익 1,500만원
- 1년 8개월차: 1억 2,300만원 달성
🎯 2년 만에 1억 모은 5가지 핵심 전략
🥇 1. 용돈 제도 폐지 (월 120만원 절약)
❌ 기존 방식 (결혼 초)
항목 | 금액 | 비고 |
전세이자 | 200만원 | 월세 대체 |
생활비 | 150만원 | 식비·공과금 |
남편 용돈 | 60만원 | 커피·식사 등 |
아내 용돈 | 60만원 | 옷·화장품 등 |
저축 | 230만원 | 계획보다 적음 |
💬 실제 문제점
- 소소한 지출이 매달 누적
- 둘 다 “조금만 써야지” 하다 100만원 이상 새나감
- 결과: 월 저축액 150만원 수준으로 하락
✅ 변경 후 시스템
“각자 용돈 없애고, 필요한 건 함께 결정하자.”
항목 | 금액 | 비고 |
전세이자 | 200만원 | 고정 |
생활비 | 150만원 | 공동카드 결제 |
공용지출 | 100만원 | 여행·의류·가전 등 |
저축액 | 250만원 | ✅ 증가 |
💡 효과 요약
- 불필요한 소비 80% 감소
- 월 120만원 절약
- 연간 절약 효과 1,440만원!
💬 실제 대화
남편: "커피 하루 세 잔 너무 많지 않아?"
아내: "맞아, 집에서 내려 마시자."
☕ 월 5만원 절약
아내: "옷은 꼭 필요할 때만 사자."
👚 월 20만원 절약
이런 작은 습관이 쌓여 연 1,400만원 이상을 만들어 냈습니다.
💡 팁 요약
✅ 공동 가계부 작성
✅ 월 1회 지출 리뷰
✅ 목표 시각화 (“1억 달성 그래프”)
✅ 달성 시 보상 계획 (국내여행 등)
🥈 2. 월급 자동 분배 시스템 구축
“저축은 의지로 하는 게 아니라 시스템으로 하는 것.”
💳 자동 분배 구조
총 수입: 월 700만원
👉 매달 1일 자동이체로 세팅
👉 남는 돈 = 0원 (지출 계획 완전 통제)
💡 효과:
- “저축하자”는 말이 사라짐
- 시스템이 자동으로 돈을 모음
- 부부 간 재정 스트레스 0
🥉 3. 월 150만원 투자 (ISA + ETF)
“저축만으로는 느리다. 안정적 투자로 속도 높이기.너무 의지 하지 않도록 과하지 않게 1명만”
💰 실제 투자 현황
구분 | 투자금 | 현재 평가 | 수익률 |
아내 ISA (S&P500 ETF) | 1,700만원 | 1,912만원 | +12.5% |
18개월간 꾸준히 자동이체만 한 결과
👉 212만원 수익 발생
📈 장기 복리로 5년 보유 시 예상 수익 약 500만원 이상.
💡 투자 원칙
✅ ETF 중심 (SPY, QQQ 등 분산지수형)
✅ 매월 자동이체
✅ 절대 단기매매 금지
✅ 5년 이상 장기 보유
💬 효과
- 투자 수익으로 저축 동기 강화
- 비과세 혜택으로 세금 절약
🏦 4. 중금리 예금으로 이자 2배 받기
상품 | 금리 | 이자 | 차이 |
일반 적금 | 2.5% | 15만원 | - |
CMA (단기) | 4.5% | 27만원 | +12만원 |
정기예금 | 5.5% | 33만원 | +18만원 |
💡 은행 3곳 분산 관리
- 단기자금: CMA
- 중기자금: 6개월 예금
- 장기자금: 저축보험
👉 이자만으로 연 30만원 추가 수익
🧾 5. 회사 복리후생 100% 활용
구분 | 항목 | 금액/월 | 절감효과 |
남편 | 건강검진, 휴가비, 통신비, 명절 선물비 |
24만원 | ✅ |
아내 | 체육비, 휴가비, 검진비 | 18만원 | ✅ |
합계 | 42만원 절감 |
💡 연금저축 세액공제까지 활용
남편: 월 50만원 × 12 = 연 600만원 → 99만원 환급
아내: 월 30만원 × 12 = 연 360만원 → 59.4만원 환급
- 연금저축 세액공제 환급: 총 158만원
📈 5가지 전략 종합 효과
항목 | 월 효과 | 연 효과 | 18개월 누적 |
용돈제 폐지 | 120만원 | 1,440만원 | 2,160만원 |
ISA 투자(수익) | - | - | 212만원(관리만) |
중금리 이자 | 2.5만원 | 30만원 | 45만원 |
복리후생 활용 | 3.5만원 | 42만원 | 63만원 |
세액공제 | - | 158만원 | 158만원 |
총합 | - | 1,700만원+ | 2,600만원+ ✅ |
💰 실제 통장 흐름
1년차:
월 200~250만원 저축 → 12개월 누적 3,300만원(투자포함)
1년 8개월차:
저축 + 투자수익 + 절감액 → 1억 2,300만원 달성
🧭 앞으로의 계획
구분 | 목표 | 금액 |
단기 (2년) | 전세 계약금 확보 | 1억 2천만원 |
중기 (5년) | 자산 + 투자수익 5천만원 추가 | 1억 7천만원 |
장기 (10년) | 자가 마련 + 대출 완제 | 목표 달성 |
🧠 신혼부부 재테크 핵심 10계명
1️⃣ 목표를 구체화하라 (“1억, 2년”)
2️⃣ 용돈제는 폐지하라
3️⃣ 공동 가계부로 투명하게
4️⃣ 월급은 자동 분배하라
5️⃣ 투자로 복리 효과를 누려라
6️⃣ 중금리 상품은 적극 활용하라
7️⃣ 회사 복지 = 현금으로 생각하라
8️⃣ 세액공제는 반드시 챙겨라
9️⃣ 부부는 ‘우리 목표’로 움직여라
🔟 3개월마다 스스로 보상하라
💬 부부의 소감
👨 남편
"의지만으로는 불가능했어요.
시스템을 만들자 현실이 바뀌더군요.
용돈을 없애니 자유지출이 얼마나 낭비인지 알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아내와 목표를 공유한 게 결정적이었습니다.
'우리 목표'라는게 정말 힘이 되더라구요."
👩 아내
"서로의 소비를 투명하게 공유하니
다툼이 줄고, 신뢰가 생겼어요.
투자 수익을 함께 확인하니
절약할 이유가 분명해졌어요.
'우리 집을 위해' 이 마음이 우리를 움직인 것 같아요."
🏡 다음 목표
전세자금 1억 모으기는
불가능한 꿈이 아닙니다.
핵심은 의지보다 시스템, 경쟁보다 협력.
- 통장 구조를 단순하게,
- 자동이체로 강제화하고,
- 목표를 ‘함께의 것’으로 바꾸면,
누구나 2년 안에 충분히 달성할 수 있습니다.
💬 “저희도 했습니다.
월급 700만원으로, 1억을.”
오늘부터 시작해보세요.
1년 뒤, 여러분의 통장도 분명 달라져 있을 겁니다.
“어? 우리도 벌써 5천 모았네?”
📢 다음 글 예고
"중년 필수 보험 5가지 (의료·암·실손 완벽 비교)"
💬 신혼부부 재테크 경험 있으신가요?
댓글로 공유해주시면 다음 글에 소개해드릴게요!